SQLD 자격증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기출문제 SQL시험 34회 시행

2020. 8. 24. 22:31SQL/SQLD - 데이터 모델링

# SQL 다섯 번째 : 기출문제 오답 및 개념 정리

 

#2019년 8월 24일 시행 시험 개념 및 오답 정리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 도메인(Domain)의 특징

- 각 속성이 가질 수 있도록 허용된 값들의 집합이다.

- 속성명과 도메인명이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 릴레이션에서 모든 속성들의 도메인은 원자적(Atomic)이어야 한다.

  *원자적 도메인 : 도메인의 원소가 더 이상 나누어질 수 없는 단일체 일 때를 의미한다.

 

2. 식별자 분류

분류 식별자 설명
대표성 여부 주식별자 엔터티 내에서 각 어커런스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이며,
타 엔터티와 참조관계를 연결할 수 있는 식별자
보조 식별자 엔터티 내에서 각 어커런스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못해 참조 관계 연결을 못함
스스로
생성 여부
내부 식별자 엔터티 내부에서 스스로 만들어지는 식별자
외부 식별자 타 엔터티와의 관계를 통해,
타 엔터티로부터 받아오는 식별자
속성의 수 단일 식별자 하나의 속성으로 구성된 식별자
복합 식별자 둘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된 식별자
대체 여부 본질 식별자 업무에 의해 만들어지는 식별자
인조 식별자 업무적으로 만들어지지는 않지만 원조 식별자가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만든 식별자

 

3. 식별자의 특징

- 유일성: 주식별자에 의해 엔터티 내에 모든 인스턴스가 유일하게 구분되어야 한다.

- 최소성: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수는 유일성을 만족하는 최소의 수가 되어야 한다

- 불변성: 지정된 주식별자의 값은 자주 변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 존재성: 주식별자가 지정이 되면 반드시 값이 들어와야 한다.

 

3-1 식별관계

부모 키를 참조하는 자식키가 기본키(PK)이면 식별관계입니다.

강한 개체는 다른 엔티티와 관계를 가질 때 다른 엔터티에 기본키를 공유합니다.

즉, 기본키 -> 다른 엔터티에서 기본키로 사용됨

 

3- 2 비식별관계

강한개체의 기본키(PK)를 다른 엔터티의 기본키가 아닌 일반 키로 관계를 가지는 것입니다.

부모 키를 참조하는 자식키가 일반키 이면 비식별관계입니다.

즉, 기본키 -> 다른 엔터티에서 일반키로 사용됨

 

 

4. 칼럼의 반정규화

-중복 칼럼 추가

조인에 의해 처리할 때 성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 즉 조인을 감소시키기 위해 중복된 칼럼을 위치시킴

 

-파생 칼럼 추가

트랜잭션이 처리되는 시점에 계산에 의해 발생되는 성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

미리값을 계산하여 칼럼에 보관함.

 

-이력 테이블 칼럼 추가

대량의 이력데이터를 처리할 때 불특정 날 조회나 최근 값을 조회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성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

이력 테이블에 기능성 칼럼(최근 값 여부, 시작과 종료일자 등) 을 추가함

 

-기본키에 의한 칼럼 추가

복합 의미를 갖는 기본키를 단일 속성을 구성하였을 경우 발생됨

단일 기본키 안에서 특정 값을 별도로 조회하는 경우 성능 저하가 발생될 수 있음.

이때 이미 기본키 안에 데이터가 존재하지만 성능 향상을 위해 일반 속성으로 포함하는 방법이

기본키에 의한 칼럼 추가 반정규화임

 

-응용시스템 오작동을 위한 칼럼 추가

업무적으로는 의미가 없지만 사용자가 데이터 처리를 하다가 잘못 처리하여 원래 값으로

복구하기를 원하는 경우 이전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중복하여 보관하는 기법

칼럼으로 이것을 보관하는 방법은 오작동 처리를 위한 임시적인 기법이지만

이것을 이력데이터 모델로 풀어내면 정상적인 데이터 모델의 기법이 될 수 있음